본문 바로가기
stock/원자재

[국제유가 선물] 6월 2주차

by sniffer-k 2023. 6. 10.

국제유가에 대한 현시점에서의 상황을 정리해보려고한다. 22년도 연말에 발표한 23년도 국제유가 전망 가격과 현재 가격과의 비교 및 23년도 국제유가와 관련된 주요 이슈는 무엇이 있을까 ... ?

23년도 6월 기준 국제 유가와 관련된 주요 이슈는 크게 6가지이다

 

국제유가 상/하 가격 영향이 있는 주요 이슈

 

상승 요건

    º OPEC/OPEC+ 감산 합의 

       - 원유 생산량 감산 

 

    º COVID-19 종료, 중국 경기 회복

      - 코로나 종료로 중국의 원유 수요 증가 

 

    º 러시아/우크라이나 전쟁

       - 지정학적 요인으로, 석유 공급 문제 발생 (공급 불안정)

 

하락 요건

    º 미국 FED, 금리 인상

      - 기준금리 상승으로 인한 달러 강세, 원자재 가격 하방 압력

 

    º 이란 핵 합의 (정치 이슈) 

      - JCPOA (이란핵합의) 와 관련된 복원으로, 이란 원유 수출 통제가 해제될경우 공급 물량 상승 

 

    º 경기 침체

      -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(PMI) 하락, 유가에 대한 전반적 수요 감소

 


국제 유가 현시점 (6월 2주차 선물,WTI 가격 분석)

investing.com 2022.02 ~ 2023.06 AND IEA WTI forcast 2023

 

º WTI 국제 유가 (6월 2주차 기준)는  2023 IEA 평균 전망 가격(77$)보다 10% 낮은 70$를 유지하고 있다.

 

에너지경제연구원 - 2023년도 국제유가 전망(2023.03)

º  에너지 경제연구원에서는 23년도는 고물가,고금리에 따른 경기 둔화에 따른 에너지 소비 감소를 근거로 22년 평균보다 하락 가격 84$ 평균으로 예측하였음. 

 

investing.com (5Y, PMI 지표)

º  미국 PMI 지수는 46 정도로 코로나 발생 이전 수준보다 약간 낮은 상태이다 

 


결론

-> 국내외 모두 22년도 보다 국제 유가 가격의 하방을 예상하였음.

-> 상반기 국제 유가 가격이 기존 예측 가격보다 더 낮은 원인으로는, FED 금리 인상 속도, 원유 소비 둔화,  경기 침체에 따른 원유 소비 감소로 볼수 있음

 

미국의 내부에서 경기 침체의 속도가 더 빠르게 진행하고 있는것으로 추정됨

 

가격 상승 ? : 경기회복과 관련된 지표 데이터나 이슈가 아직 없음, 금리 동결 없이는 상승 압력은 없음

 

가격 하락/ 약보합 ? : 23.5 ~ 23.6 까지 박스권 진임, $ 60 ~ 65$ 마지노선으로 보임, 추가하락 및 약보합 가능성이 매우큼

(이란 합의와 관련된 정치적 이슈도 아직 미해결 문제로 남아있음)


참고자료

https://www.keei.re.kr/main.nsf/index.html?open&p=%2Fweb_keei%2Fd_results.nsf%2Fmain_report_01%2F6A2BBFF4DEF6B2A7492588E6002331C0&s=%3Fopendocument%26menucode%3DS3%26category%3D%25EC%2597%25B0%25EA%25B5%25AC%25EB%25B3%25B4%25EA%25B3%25A0%25EC%2584%259C 

 

https://www.eia.gov/todayinenergy/detail.php?id=55159 

 

https://kr.investing.com/economic-calendar/ism-manufacturing-pmi-173

728x90